학교문화 Down NU
- eedyi81
- 2020년 12월 16일
- 2분 분량
학교문화 Down
학교문화
학교문화에 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학교문화
나. 학생문화의 기능
학생문화는 하위 유형에 다라 수행하는 기능이 다르다.
⑴ 면학지향적 학생문화
면학지향적 학생문화는 대체로 학교에 대한 적을을 촉진시킨다. 그러나 coleman이 지적한 바와 같이 강력한 동년배집단이 존재하는 경우, 면학지향은 동년배집단에 대한 부적응을 야기할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난점을 해소하는 방법으로서 미국의 동년배 사회에서는 성취수준을 낮게 조정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반면, 영국의 사립학교에서는 성취수준의 저하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교사에 대한 동조가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는 영국 사립학교의 학생들은 지적 능력이 높으며, 대부분의 학생이 좋은 학업성적을을 얻는 것이 당연시하였다. 따라서 그들에게는 학업성취의 수준과 성적을 둘러싼 경쟁은 문제가 되지 않으며, 오히려 무비판적이고 자율성 없는 동조적 행동이 비난을 받게 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동조자에 대한 그들의 비난은 비판정신을 고무하는 사립학교의 공식적이고도 전통적인 가치와 일치한다.
학교의 가치에 대해 대항하는 가치를 학생들이 지니고 있는 경우 갈등은 보다 심각해진다. 그러한 갈등은 노동계층 출신이면서 학업성취를 지향하는 학생들에게서 흔히 나타난다.
그들은 노동계층 출신의 친구들로부터 오는 기대와 교사로부터 주어지는 기대 사이에서 상반되는 압력을 받게 된다. 이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들은 또래친구들로부터의 수용을 단념하고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선택하거나 학교에 동조하는 영역인 학업성취에만 제한시킨다.
⑵ 반학교형 학생문화의 기능
반학교형 학생문화는 학교가 규정하는 학생의 공식적인 역할로부터 학생들을 이탈시킨다.
영국에서는 지역사회의 노동계층 문화가 대안적인 가치를 제공하며, 이 문화에 참여하는 학생들을 사회이동이 정체된 지역으로 다시 사회화하고 있다. 따라서 반학교적 학생문화는 사회생활 그 자체로부터 일탈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에는 대안적 문화가 없기 때문에 반학교적인 학생들의 비타협적인 반항으로 나가게 되는 수가 많다.
반학교적인 학생들의 행동은 학교로 하여금 더욱 관료주의적인 규칙에 의해 그것을 통제하게끔 한다. 즉, 대부분의 경우 교사집단은 반학교적인 행동에 대해 학교의 규칙에 의해서 대처하려고 한다.
규칙에 의한 통제와 교사의 인격에 의한 통제의 이중통제에서 오는 문제이다. 이 두가지를 분리해서 사용하기는 쉽지 않지만, 교사들 중에는 규칙을 강조하는 경우와 학생과의 인간적 접촉을 중시하는 경우가 있다. 학생들 통제하는 방식이 분리될 때 때로는 학생들에게 불신감을 갖게 하여 학생지도가 어렵게 될 수 있다.
⑶ 놀이지향형 학생문화의 기능
놀이지향형 학생문화는 크게 나누어 두가지 기능을 가진다. 첫째, 사회성이나 인간관계능력 등 사회적 성취를 강화한다. 둘째, 학생들에게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미국의 경우 동년배사회를 매개로 하여 그 두기능이 함께 수행되지만 동년배사회가 없는 영국과 일본에서 첫째 기능은 비교적 약한 반면 둘째 기능이 강화되는 경향이 있다.
일본 고교생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고교 진학률이 상승함에 따라 이 휴형의 학생이 증가된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학생문화에 대한 연구는 학교에 있어서 학생들의 행동과 사회화의 관계를 해명하는데 중요한 접근방법이다. 학생문화의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학교의 조직 및 교사의 교육적 행동과 관련하여 학생들의 가치와 행동양식을 분석할 수 있다.
Ⅴ. 맺는 말
이상으로 학교문화의 구성요소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학교문화는 장래 사회를 이끌어 갈 우리의 미래의 주역이 활동하는 공간의 문화라는 점에서 그 문화의 중요성은 무엇과도 비교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이 글을 통하여 올바른 학교문화의 중요성과 올바른 학교문화의 정립의 필요성을 알게 된느 계기가 되었음을 회고하며 글을 마치고자 한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학교문화
파일이름 : 학교문화_2087231.hwp
키워드 : 학교문화
자료No(pk) : 16152012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