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 다운 PO

  • eedyi81
  • 2020년 12월 17일
  • 3분 분량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 다운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


방어기제의 종류 및 설명

1.억압(repression)

-가장 흔한 방어기제로 의식에서 받아들이기 힘든 욕망, 충동, 생각들을 무의식으로 밀어 넣는것이다.

2.억제(suppression)

-의식적 또는 반의식적으로 잊으려고 노력하는 것으로, 실연이나 창피당한 기억들을 머리에서 지우려 하는 경우이다.

3.반동형성(Reaction-formation)

-억압이 과도하게 일어난 결과 그 반대의 욕구, 생각을 의식에서 갖게 되는 것으로, 사람을 미워하는 감정의 소유자가 박애주의자, 자선사업자가로 되는 경우, 어려서 남동생이 태어나 어머니의 사라을 뺏겼기 때문에 그 동생을 미워한 누나가 그 미운 감정을 과도히 억압한 결과로 그를 지나치게 귀여워 해주는 누나로 변신한 경우이다.

4.동일시(Identification)

-부모, 형, 위사람 주위의 중요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닮는 것을 말하는데, 단순히 모방(immitation)과는 다른 것이다. 동일시는 자아의 성장에 가장 중요한 기제이며, 초자아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동일시에는 완전무결하게 일어나지는 않는다.

5.합일화(Incorporation)와 함입(Introjection)

-광의의 관점: 동일시 속에 포함되는 것으로 동일시의 원시적 형태로 다음과 같다

-합일화는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을 전혀 분별하지 못하는 영아기에 일어나는 동일시를 뜻한다. 외계에 있는 대상을 상징적으로 입으로 삼켜 동화(assimilate)하여 자아의 형태 변형없이 그대로 자기 자아의 구조속으로 들어오게 하는 원시적 방법의 동일시이다. 갓난 아이가 어머니가 웃으면 자기가 웃는 줄 알고 자기가 좋아하는 줄 아는 상태다.

-함입은 ‘자기’와 ‘자기가 아닌 것’ 정도는 구별하는 시기에 와서 일어나는 동일시를 말한다. 그가 어떤 상태 대상(object)을 그럴 것이라고 그 나름대로 상상하는 대상으로서 그의 자아 속에 합일화시킬 때를 일컫는다.

6.보상(Compensation)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 제한이 있는 사람은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어떤 것을 과도히 발전시키는데 이를 보상이라고 한다.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 키 작은 사람의 목소리가 크다는 것이 그 예이다.

7.합리화(Rationalization)

-우리가 인식, 의식하지 못한느 동기에서 나온 행동을 지적으로 그럴듯하게 설명하는 것을 말하며, 이때 그는 자기의 무의식적 동기를 전혀 의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상실, 정직하게 말한다. 바른 말을 그에게 해주면 화를 낸다, 이솝 우화난 나오는 여우와 신포도 이야기가 그 예이다.

8.대체형성(Substitution)

-목적하던 것을 못 가지게 됨에 따라 오는 좌절감에서 기인한 긴장을 줄이기 위해 원래의 것과 비슷한 것을 취해 만족을 얻을 때를 말한다. 남의 소를 못 잡아 먹을 때는 내 소라도 잡아먹어야 속이 풀린다는 말이다.

9.전치(Displacement)

-원래 실제로 있는 어떤 대상에 향했던 감정이 그대로 대치물에게 향한는 것을 말한다. 자기의 도덕적 타락에 대한 무의식적 죄책감에 휩싸인 사람이 더러움 타는 것을 무서워해 하루에도 몇 번씩 내복을 갈아 입고 또 시내버스 손잡이도 장갑을 끼어야 잡는 사람, 제주도 출신 상사에게 부당하게 야단맞고 제주도 출신 아내에게 화를 내는 경우 등이 예이다.

10.취소(Undoing)

-무의식에서 어떤 대상을 향해 품고 있는 자기의 성적인, 적대적인 욕구로 인해 그 상대가 입었다고 상상하는 그 피해를 취소, 원상복귀, 불인정하는 행위를할 때를 말하며, 의식에 주로 이런 기제가 있다.

11.상환(REstitution)

-무의식에서 있는 죄책감을 씻기 위해 사서 고생하는 것, 같은 행동을 할 때를말하며 자기는 반평생을 단칸 셋방살이하면서 돈만 좀 벌면 몽땅 자선사업에 바치는 사람들이 그 예이다. 창작에 강한 욕구를 만드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다.

12.투사(Projection)

-무의식에서 품고 있는 공격적 계획과 충동을 남의 것이라고 하는 경우를 투사라 하며, 어려서 자기가 배설한 대변을 자기 것이 아니라고 여기고 싶어하는데서 출발한다.

13.상징화(Symbolization)

-어떤 대상이나 사상을 대변하는 다른 대상, 신념을내세우는 것을 상징화라고 하며 원래 속에서 가지고 있는 대상, 사념은 그 어떤 면에서 금기의 성질을 띠고 있고 내세워지는 대상, 신념은 그 점에서 중림적, 무난하다는 면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아이를낳고 싶은 강렬한 소망을 지닌 여인이 꿈에 달걀, 새알이 보이는 것 같은 경우가 해당된다.

14.퇴행(Regression)

-인생의 성숙, 발전해 가는 과정에서 좌절을 심하게 당했을 경우 그동안 이룩한 발달의 일부를 상실하고 그 주인공이 현재보다 유치했던 과거 수준으로 후퇴하는 것을 말한다. 항문기에 좌절을 심히 받았거나 반대로 너무 많은 이득이 있으면 그는 이 시기에 대한 무의식적 집착이 있는데 이런 것을 고착이라하며 고착이 강할수록 스트레스를 크게 받는 경우에 쉽게 고착되어 있는 시기로 퇴행한다.

15.해리(Dissociation)

-마음을 불편하게 하는 성격의 일부가 그 사람의 의식적 지배를 벗어나 마치 하나의 독립된 성격인 것처럼 행동하는 경우를 두고 말하며, 예로 몽유병이 있다.

16저항(Resistance)

-억압된 자료들이 의식적으로 나오는 것을 막는 것을 말하는데, 그들이 의식화되면 너무 고통스럽기 때문에 이런 상황에서 그 사람은 대개 기억이 없다는 말을 한다.

17.부정(Denial)

-의식화된다면 도저히 감당하지 못할 어떤 생각, 욕구, 현실적 존재를 무의식적으로 부정하는 것을 부정이라 하며, 자기의 자식들에게 절대로 화를 내는 법이 없다고 우기는 어머니, 실상은 불치병으로 죽어가면서도 명랑하게 장래의 계획을 세우는 환자의 경우가 있다.

18.격리(Isolation)

-고통스런 기억, 생각과 감정, 정서를 의식에서 몰아내는 과정으로 고통스런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과 정서는 억압하는 것을 말한다. 강박장애에서 흔하다.

19.차단(Blocking)

-몇 가지 서로 연결된 생각들 가운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

파일이름 : 커뮤니케이션의 정의 및 유형과 모형에 관한 조사.hwp

키워드 : 커뮤니케이션,정,유형과,모형,커뮤니케이션의,정의,및,모형에,관한,조사

자료No(pk) : 11026601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PC방 사업계획서 등록 KA

PC방 사업계획서 등록 (파일첨부).zip PC방 사업계획서 PC방 사업계획을 체계적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관광사업7조[1] Ⅰ. 서론 1.사업배경 2.사업목적 Ⅱ. 관련법규 검토 Ⅲ. 현황분석 1.SWOT분석 Ⅳ. 사업대상지 분석 1.선정배경...

 
 
 
삶과 죽음의 음악 독후감 레포트 IF

삶과 죽음의 음악 독후감 레포트 문서 (Down).zip 삶과 죽음의 음악 독후감 삶과 죽음의 음악이라는 책을 읽고 독후감을 작성하였습니다. [음악]삶과죽음의음악 없음. 예술은 인간 생활에 활력소를 불어 넣어주는 아주 중요한 분야다. 각박한...

 
 
 
스포테인먼트 사례와 긍정적 및 부정적 시각 다운 CF

스포테인먼트 사례와 긍정적 및 부정적 시각 다운 (File).zip 스포테인먼트 사례와 긍정적 및 부정적 시각 본 자료는 경제 성장의 가속화와 더불어 주5일제 근무 그리고 여가 활동의 국민적인 관심이 증대되고 기술과 정보 중심의 사회로 전환이...

 
 
 

Comments


게시물: Blog2_Post
  • Facebook
  • Twitter
  • LinkedIn

©2020 by eedyi81. Proudly created with Wix.com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