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별 떡 업로드 PG
- eedyi81
- 2020년 12월 20일
- 2분 분량
지방별 떡 업로드
지방별 떡
2.강원도 지방의 떡 강원도는 우리 나라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방으로서 동쪽은 해안선을 따라 동해와 접하고 있고, 서북쪽은 황해도, 북쪽...
2.강원도 지방의 떡
강원도는 우리 나라 중부 동쪽에 위치한 지방으로서 동쪽은 해안선을 따라 동해와 접하고 있고, 서북쪽은 황해도, 북쪽은 함경도와 각각 경계를강원도 지방의 떡 이룬다. 또 사남쪽은 충복,경기 와 지류가 이어져 있고, 남쪽은 소백 산맥을 경계로 경북과 경계를 이룬다. 이렇게 여러 도와 경계를 이루는 강원도는 크게 영서와 영동으로 나뉘는 데, 영서에는 농작물이 많이 생산되고, 영동에서는 수산물이 많이난다. 영서에서는 주로 나는 농산 물은 감자, 옥수수, 콩, 메밀 등 밭작물이 대부분인데, 이 곳이 산악 지대로 이루어진 만큼 도토리, 칡, 두릅, 송이 등 다양한 산채가 대량 생산된다. 따라서, 이곳에서는 멥쌀이나 찹쌀로 만든 떡보다는 감자를 중심으로 한 밭작물과 산채를 이용하여 만든 떡이 발달되어 있다. 이 지방의 떡은 감자, 칡, 옥수수 메밀 등 잡곡과 산채를 주로 하는 만큼 맛이 극히 소박하고 구수한 것이 특징이다.
♣감자송편
감자녹말을 익반죽하여 팥소나 풋강낭콩소를 넣고 송편으로 빚어 찐 떡으로, 뜨거울 때 먹으면 쫄깃한 맛이 별미이다. 강릉에서는 이떡을 빚을 때 네모지게 손자국을 내어 한층 소박한 멋을 내기도 한다. 언 감자를 녹여 만들기도 한다.
♣찰옥수수 시루떡
찰옥수수 시루떡은 찰옥수수를 가루로 빻아 팥고물을 켜켜로 얹어 가며 안쳐 찐떡이다.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찰옥수수는 보통 옥수수와 달리 알이 굵고 차진 맛이 있어, 뜨거울 때 이떡을 먹으면 찰옥수수 특유의 맛을 음미할 수 있다.
♣메밀총떡
메밀가루를 묽게 반죽하여 번철에 지지다가 소를 넣고 말아 익힌 부침개의 일종이다. 이떡에 넣는 소는 김치에 돼지고기를 볶아 섞어 만들기도 하고, 잣김치, 두부, 숙주나물 등을 양념하여 만들기도 한다. 이떡의 주 재료인 메밀은 감자, 옥수수와 함께 강원도의 대표적인 작물로 꼽히며, 고산지대 자갈밭에서 거둔것일수록 품질이 좋다.
♣방울증편
멥쌀가루를 익반죽하여 막걸리를 부어 풀어서 발효시킨 다음, 틀에 붓고 찌되 보통 증편과 달리 두텁게 떡처럼 거피팥고물을 반죽위에 얹은 뒤 덮어 볼록하게 하여 찐 떡이다. 이 떡은 특히 강릉 지방의 향토식으로 꼽힌다.
♣팥소흑임자
찹살을 쪄서 찧은 뒤 조금식 떼어 팥소를 넣고 싸 흑임자 고물에 굴린 떡이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지방별 떡
파일이름 : 지방별 떡.hwp
키워드 : 지방별,떡
자료No(pk) : 1605387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