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복지 내부장애 Down TV
- eedyi81
- 2020년 12월 21일
- 2분 분량
장애복지 내부장애 Down
장애복지 내부장애
장애복지 내부장애에 대한 글입니다. 장애복지내부장애
Ⅰ. 국가별 장애의 정의 및 범주
1. 미국
2. 독일
3. 일본
4. 호주
5. 기타 국가의 장애 정의
Ⅱ.우리나라 제도별 장애 범주
1. 장애인 복지법
2. 산업재해보상보험법
3. 군인연금법
4. 국가유공자 예우 등에 관한 법률
5. 의사상자예우에 관한 법률
Ⅲ. 내부장애 판정기준
1. 심장장애 등급기준 규정 및 판정요령
2. 개 요
3. 등급별 판정요령
4. 심장장애 판정시 검사항목 및 항목별 점수 기준
5. 심장장애의 재판정에 관한 사항
6. 신장장애 등급기준 규정 및 판정요령
Ⅳ. 내부장애의 정의
Ⅴ. 내부장애인의 특성과 발생원인
1. 심장장애 특성
2. 심장장애의 대표적심질환
1) 부정맥
2) 허혈성 심질환
3) 심근증, 판막증, 선천성심질환, 심주전
3. 인공 심장
4. 심장장애 증상과 원인
1) 협심증
2) 심부전
Ⅵ. 신장장애의 특성
1. 신장기능의 대표적 신질환
1) 급성신부전
2) 만성 신부전
(1) 만성신부전 치료방법
(2) 신장대치요법
Ⅶ. 직업재활
1. 직업재활의 개념
2. 직업재활의 이념과 원칙
Ⅷ 내부장애인의 직업재활 전략
1. 직업적 특성
1) 심장장애
2) 신장장애
Ⅸ. 장애인과 고용
1. 장애인 고용의 사회적 의미
2. 장애인 고용으로 얻을 수 있는 기대효과
3. 장애인 취업자의 고용형태별 분포
4. 취업장애인 월평균 근로소득
Ⅹ. 내부장애인과 고용
1. 심장기능 장애우에 대한 고용상의 일반적 주의점
2. 신장기능 장애우에 대한 고용상의 일반적 주의점
3. 직업재활과 고용에 대한 기본원칙
4. 직업재활 전문요원
1). 직업재활 전문요원의 개념
2). 직업재활사의 역할
3). 내부장애인을 위한 직업재활 전문가의 역할
- 《 결 론 》
또한 2주에 1번 혹은 4주에 1번 꼴로 병원에 가서 정기적으로 검사를 받아야 하는 사람도 있으므로 통원시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그러나 심장기능 장애인 중에는 격렬한 육체노동만 아니면 건강한 사람과 거의 똑같은 환경에서 취업이 가능한 사람도 있으므로, 개개의 상태에 따른 대응이 요구된다.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9).
신장장애인은 장애로 인한 뇌기능 장애의 결과로 판단력 저하, 졸음, 집중력 부족 등을 보이며 신장이식 장애일 경우 과다한 약물남용으로 감염되기 쉽다.
또한 신체적 부담이 큰 직업은 질병과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체장애인은 비육체적 노동상황에서 일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신장장애는 성공적인 이식이 이루어지고 나면 직업을 방해하는 많은 문제가 사라지기 때문에 직업적인 제한성을 없을 것이다.
결국 내부장애인에게 공통적인 문제는 이처럼 육체적으로 힘든 일에 대한 배려뿐만 아니라 직장 내에서의 인간관계를 고려해야만 한다는 점이다. 일반적으로 내부장애인은 체력이 저하되어 있으므로 무리해서 일할 수가 없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잔업을 피해야 한다. 그런데 동료들은 남아서 잔업을 하는데 자기 혼자만 정시에 퇴근하는 것이 정신적으로 커다란 부담이 된다. 하물며 신장기능 장애인처럼 주3회 투석을 받기 위해 조퇴를 할 경우 주위 동료들의 따뜻한 마음이 없다면 고통스러울 것이다.
이와 같은 시간적 제약뿐만 아니라 심장·신장장애인들은 음식을 제한해야 한다. 심장기능 장애인은 지나친 염분섭취와 과식은 심장에 부담을 주고 또한 비만과 합병증을 유발하기 쉬우므로 칼로리와 지방을 제한하고 규칙적으로 식사를 해야 한다. 신장기능 장애인 역시 수분·염분·인·칼륨 등의 섭취가 제한되며, 단백질·칼로리 섭취도 관리할 필요가 있다(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9).
[문서정보]
문서분량 : 4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장애복지 내부장애
파일이름 : 장애복지 내부장애.hwp
키워드 : 장애복지,내부장애
자료No(pk) : 1615955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