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하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 레포트 GE
- eedyi81
- 2020년 12월 11일
- 1분 분량
일제하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 레포트
일제하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
일제하에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에 대하여 설명한 글입니다. 일제하안재홍의신간회
1. 머리말 1
2. 안재홍과 신간회운동 1
3. 신간회 운동론 6
4. 신간회 해소 반대론 12
5. 민족운동단체 재건론 20
6. 맺 음 말 251. 머리말
일제하 안재홍은 비타협적인 민족주의자, 부르주아민족주의 좌파로서 신간회의 결성과 이후 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특히 그는 조선일보사의 간부로서 {조선일보}를 사실상의 신간회 기관지로 활용하면서 신간회운동을 적극 지원하였다. 그리고 1931년 신간회 해소가 논의될 때에는 적극적인 반해소론자로 나서서 다수의 해소론자들과 맞서 고군분투하였다. 또 신간회 해소가 신간회 전체대회에서 가결되고 기정사실화되어가는 가운데에서도 그는 제2의 신간회와 같은 `전민족적 표현단체`의 재건설을 강력히 주장하였다.
그러면 이같은 그의 신간회를 둘러싼 활동은 어떠한 현실인식과 운동론에 기초한 것이었을까. 그의 민족주의자와 사회주의자의 민족협동전선결성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은 어떠한 것이었으며, 그 단체의 활동방향에 대한 구상은 어떠한 것이었을까. 또 그 구상들은 시간적으로 어떻게 달라졌을까. 안재홍은 신간회에 참여한 부르주아민족주의자들 가운데 가장 글을 많이 남겼고, 또 당시에 그들의 이론적 대변자 구실을 하였다. 따라서 그의 이러한 구상들을 분석해보는 것은 당시 신간회에 참여한 부르주아민족주의 좌파의 구상을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일제하 안재홍의 정치사상과 운동론에 대해서는 이미 몇 편의 글이 있다. 그런데 이 글들은 신간회 결성을 전후한 안재홍의 민족운동론을 정면으로 다룬 것이라기보다는 일제하 그의 정치사상을 포괄적으로 다룬 것이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1920년대 중반부터 1930년대초까지 그의 민족운동론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것이었으며, 그 성격은 어떻게 규정될 수 있는지를 주로 신간회운동론을 중심으로 검토해보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같은 시기 그의 생활개신운동론, 고적보존운동론, 만주동포구제운동론 등은 자세히 다루지 못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추후 검토의 기회를 갖고자 한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26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일제하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
파일이름 : 일제하 안재홍의 신간회운동론.hwp
키워드 : 일제하,안재홍의,신간회운동론
자료No(pk) : 16139816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