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 DownLoad IO
- eedyi81
- 2021년 1월 10일
- 2분 분량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 DownLoad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에 대한 자료입니다. 응급환자발생시대처방
1.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에 입각하여 서술하시오.
1. 현장조사 및 응급의료서비스 기관에 연락
먼저 현장이 본인과 환자에게 안전한지 확인한 후, 몇 명의 환자가 어떠한 상태인지,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있는지 등을 확인한다. 대충의 파악이 끝나면 응급의료서비스 기관에 연락을 취한다. 이 때 연락을 대신해 줄 사람이 있다면 확실한 연락을 위해 가능하면 2명 이상을 지목하여 연락을 취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상황, 사건발생시간, 신고자의 연락처, 응급사항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전달한다.
2. 처치 및 도움 / 환자평가
환자를 안전한 장소로 옮긴 후 환자 평가를 시작한다. 환자 평가는 기도(Airway), 호흡(Breathing), 순환(Circulation) 순서대로 하고, 부상자가 의식이 있는 경우 물어가면서 파악을 하는 것이 좋다. 호흡, 맥박, 체온 등의 생체 징후를 확인한 후 머리에서 발끝까지 다른 부상 여부를 조사하도록 하는데 이 때 어린이인 경우 발끝에서 머리까지 조사하는 것이 좋다. 환자평가는 체계적이고 신속하게 이루어져야한다. 1차 조사로 생명과 직결된 뇌, 척추, 심장, 폐 등에 부상이 있는지 확인한다. 이 때 반응이 없으면 구급차가 올 때까지 기다리며, 반응이 있으면 기도를 개방하고, 옆에 앉아 눈으로는 가슴을 보고 귀로는 숨소리를 들으며 피부로는 호흡을 느껴 호흡을 평가한다. 다음으로는 순환기능을 평가하는데 성인의 경우 경동맥을 이용하고, 영아의 경우 상환동맥을 이용한다. 순환기능은 맥박, 출혈여부, 피부가 하얗게 질렸나 안 질렸나 (흑인의 경우 입술, 손톱, 동공 등을 확인), 체온 등을 확인한다. 순환기능 평가 후에는 손톱과 발톱 끝을 눌러 명료, 음성, 통증, 무반응의 네 가지 반응으로 기능장애 여부를 확인한다. 상처노출부위는 옷을 벗기는데 이때 저체온증이거나 여자인 경우는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조치한다.
1차 조사가 끝나면 신체에 변형이 있나, 개방성 상처인지 압통인지, 부종이 있는지 등의 신체검사를 하고, 마지막으로 부상자의 병력을 조사한다.
3. 구조호흡과 심폐소생술
환자가 움직이거나 반응을 보이면 구급차가 올 때까지 그대로 기다리며, 척추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냥 그대로 보존하는 것이 가장 좋다. 하지만 환자가 움직이지 않는다면 환자를 단단한 곳에 바로 눕힌 후에 손등이나 손가락을 이용해 턱을 90도 정도 올려 기도를 개방한다. (이물질로 기도가 폐쇄되어있다면 입안 및 목구멍 깊숙이 손가락을 집어넣어 이물질을 제거한다.) 눈과 귀, 피부를 이용하여 3~5초간 호흡을 확인해도 호흡이 없는 경우 머리 쪽 손으로 이마를 누르고, 엄지·검지로 코를 막고 다른 손으로는 턱을 잡고 기도를 확보한 상태로 2회 숨을 불어넣는다. 숨을 불어넣은 후에는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코를 막고 있던 손을 떼어주고, 경동맥(영아의 경우 상환동맥)에 2·3번째 손가락을 얹어 맥박을 5~10초간 확인한다. 이때 환자가 입을 다쳤다면 코를 이용하는데 코가 한입에 들어가게 한 후 구조 호흡을 실시하여야 한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4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
파일이름 : 응급 환자 발생시 대처 방법을 응급처치 요령.hwp
키워드 : 응급,환자,발생시,대처,방법을,응급처치,요령
자료No(pk) : 1616282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