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과 묵자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Up XZ
- eedyi81
- 2020년 12월 29일
- 2분 분량
유가사상과 묵자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Up
유가사상과 묵자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부족하지만 최선을 다해 작성하고자 노력하였으니 만족하실 수 있으리라 생각됩니다. 그럼 자료를 받으시는 모든 분들께 언제나 행복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치수의_REPORT[1]
Ⅰ. 묵자의 사상
Ⅱ. 유가사상과의 비교
Ⅲ. 유가사상의 현대적 의의
Ⅳ. 결론
Ⅰ. 묵자의 사상
(1) 피지배층의 대변자
墨子는 성이 墨이고, 이름이 翟이다. 묵자는 태어난 나라도 불분명하고, 태어나고 죽은 해도 확실하지 않다. 묵자의 사상은 힘있는 諸侯들에게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는데 그 까닭은 그가 비천한 출신성분이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그의 사상이 지배층의 이익을 위한 富國强兵策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민중을 옹호한 묵자의 사상은 秦나라에 의한 통일의 기운이 무르익어 가면서 약해지기 시작했고, 통일이후 중앙집권적 전제주의가 강화되자 역사의 무대에서 사라져 갔다.
(2) 강철 같은 조직
묵자의 사상을 따르는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고 살았다. 집단의 우두머리는 거자라 불렸는데 거자는 강력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서 구성원을 죽이거나 살릴 수 있었다. 집단 구성원들은 대부분 하층민이었고, 하급 무사나 기술자들이었다. 그들은 집단적 결속을 통해 자신들 이 처한 예속적 지위를 벗어나려 했다. 그들은 금욕적인 규율을 철저히 지켰으며 오로지 남을 위해 일해야 했으며 ,규율을 어겼을때는 조직으로부터 엄한 벌을 받았다.
묵가 집단은 단순한 군인이나 기술자가 아니었다. 그들은 새로운 세계관을 가진 철학자들이었으며, 그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강철 같은 조직의 동지들이었다.
(3) 서로 사랑하고 이익을 나누자
묵가집단을 강한 힘으로 결속시키고 끌고 나간 철학은 兼愛와 交理였다. 겸애는 서로 사랑하자는 뜻으로 정치적인 평등의 요구였고, 교리는 서로 이익을 나누어 갖자는 의미로 경제적인 평등의 요구였다.
묵자는 자기를 위하듯 남을 위하고, 자기 나라를 위하듯 남의 나라를 위한다면 , 온 세상이 이로워져서 결국 그 이익이 자기에게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2). 묵자의 이런 생각은 인간의 감정이 아니라 이성에 호소한 것이다.
묵자는 따져 보는 기준으로 세가지를 제시했는데 이 기준들은 경험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피지배 계층의 입장에 판정의 토대를 두고 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유가사상과 묵자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
파일이름 : 유가사상과 묵자사상의 공통점과 차이점, 그리고 현대사회에 미친 영향.hwp
키워드 : 유가사상과,묵자사상의,공통점과,차이점,그리고,현대사회에,미친,영향
자료No(pk) : 16141087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