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교 보고서 MY
- eedyi81
- 2020년 12월 14일
- 2분 분량
밀교 보고서
밀교
밀교의 성립배경과 대승철학 체계의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밀교의 종합적인 성격이 어디서 기인했는가를 추리해 보고, 밀교의 비밀이라는 것과 밀교가 지닌 난해성에 대해 살핌으로써 본 보고서의 종착역인 밀교와 현교의 차이점에 대해 서술하여 밀교의 사명에 대해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밀교
Ⅰ. 서 론
Ⅱ. 본 론
1) 밀교의 성립배경
2) 대승철학 체계의 영향
3) 비밀이라고 하는 것
4) 밀교의 난해성
5) 밀교와 현교
6) 밀교의 재평가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밀교는 교리만으로 되어진 일반종교와는 달리 소위 비밀이라고 불리어지는 요소로부터 성립된, 까다롭고 독특한 실수법, 수행법들이 많이 곁들여 있다. 아니 그것들이 오히려 밀법의 대부분을 점하고 있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이다. 이러한 요소를 제외하고 교리면 만을 아무리 연구하여 보았댔자 밀교를 이해할 수는 없는 것이다. 실수법이기 떄문이다. 또한 반대로 그렇다고 해서 밀교의 실수법, 수행법의 작법이나 세칙들이 적혀있는 비밀경궤나 수 많은 타라니경들을 아무리 연구하여 보았댔자 그 가운데서 신비적 기적적 요소를 제외하면, 아마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다. 그래서 밀교를 신비의 종교라고들 말하는 것이다. 서구의 학자들이 줄잡아 단순히 주술인냥 외면하고, 또한 아무리 연구해 봐도 이해할 수 없었던 비밀경궤, 그 안에야말로 진정 밀교의 진수가 되는 것이며, 이를 외면한 채 밀교를 논하는 것은 연목구어의 어리석음이라 하겠다. 신비성은 종교의 속성이지 그 본질은 아닌 것이며, 또 종교에 신비성이 따르지 않는 종교란 없다. 밀교는 정신의 세계, 심오한 생명의 오지를 각오하는 유식철학이라 할 수 있다. 불타의 세계, 대일여래 부처님의 세계는 바로 신비의 세계이거늘 부처님을 믿지 않고 그 신비만을 찾는 마음이 사도이지 부처님의 세계에 신비가 있다고 이를 백안시함은 잘못이라 아니할 수 없다.
다음에서 밀교가 난해한 종교라는 이미지를 떨쳐낼 수 없는 몇 가지 요인들을 살펴보자.
첫째는 교주가 법신이란 점이다. 법신이라든가 이불이라든가 하는 것은 철학적 내지 종교적 개념이므로 형이상학이다. 석가모니나 공자나 예수나 마호멧트 등은 모두 이 세상에 한번 왔다가 가신 역사적인 성현이거나 교주이므로, 그 누구도 설사 그 가르침은 어렵다고 할 지언정, 교주나 교 자체를 잘 모르겠다고 하지는 않는다. 그러면서도 우주법계의 이불이니 법신불이니 하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고 하는 것은 부처님이 우리의 오관(오관)으로는 알 수 없는 형이상학적 존재인 까닭이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8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밀교
파일이름 : 밀교.hwp
키워드 : 밀교
자료No(pk) : 16123323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