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신학적 인민주의 레포트 CX
- eedyi81
- 2020년 12월 26일
- 1분 분량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신학적 인민주의 레포트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신학적 인민주의
신학적 인민주의인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에 대해서 피력했습니다. up마르실리우스의공의회주의-신학적인민주의
I. 서 언
II. 교황 수장제
III. 교황, 황제와 인민
IV. 신자 집합체
V. 결론공의회주의가 그것의 단명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학문적 관심의 대상이 되어온 것은 중세시대 입헌국가(constitutional state) 출현의 의미와 인민주권의 정치적 이론 형성에 미친 영향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역시 인민주권 이론과 관련하여 그것의 사상적 기여가 주목된다. 앞에서 지적했듯이 교황권에 대한 제한은 주교와 다른 사제 혹은 세속지배자로의 권력 분산을 유도할 수 있는 반면, 마르실리우스의 경우 이는 궁극적으로 인민, 즉 신자 집합체의 권한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이 주장을 위해 마르실리우스 사상에서 교황과 황제, 신자 집합체의 관계를 해명하고자 하였다. 정리해보면, 교황의 권위는 역사적으로 황제에 의해 주어진 것으로 결코 그 세속지배자보다 우월하지 못하다. 그러나 이것이 교회내의 지고권이 황제에게 있다고 보는 황제주의로 귀결되지 않음은 황제란 정치의 영역에서는 인민, 신학적으로는 신자 집합체에 의해 그 권한을 양도받은 자라는 이해에 근거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써 마르실리우스 사상에서 정치적으로, 신학적으로 황제의 위상에 대한 언명에도 불구하고 그의 정치이론의 요체는 인민주의에 있으며 이는 공의회에 관한 그의 주장에도 그대로 연장된다. 교황 전능권 주장의 허구와 교회내의 위계질서 거부등에 관한 주장은 교회가 어느 특정인의 권위아래 운영되는 것이 아니라 교회의 진정한 주인은 모든 신자의 모임체임을 밝히는 예비적 논의이며, 이들로 구성되는 공의회가 결코 오류를 범할 수 없다 함은 정치적 주권자인 인민의 신학적 대치체라 할 수 있는 신자 집합체의 주권을 주장하기 위함이다.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특성을 신학적 인민주의라 명명한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신학적 인민주의
파일이름 : 마르실리우스의 공의회주의 신학적 인민주의.hwp
키워드 : 마르실리우스의,공의회주의:,신학적,인민주의
자료No(pk) : 16146131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