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제: 신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종교를 왜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가? Up EE
- eedyi81
- 2020년 12월 12일
- 2분 분량
논제: 신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종교를 왜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가? Up
논제: 신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종교를 왜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가?
신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물음은 우리가 암흑시대라고 흔히 칭하는 서양의 중세시대 이후에 ‘르네상스’시대를 기점으로 하여 발발하여 19세기후반에서 ...
신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물음은 우리가 암흑시대라고 흔히 칭하는 서양의 중세시대 이후에 ‘르네상스’시대를 기점으로 하여 발발하여 19세기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집중적으로 제기되었다. 굳이 그이유를 들자면 그전까지 신이라는 존재는 아무런 의문없이 받아들여지는 절대적인 존재였지만, 암흑시대를 거치면서 사람들이 겪게된 여러 가지 시련(흑사병, 종교재판등등..)을 통해서 종교 그자체의 존재에 대하여 의문을 가지게 되었고 결국은 종교 존재의 지주인 신이라는 대상에까지 의심의 눈길을 돌리게 되었던 것이다.
즉 그전까지 믿어왔던 시련이라는 것은 인간이 생겨날때부터 지고 있던 원죄와 세상을 살면서 범하게 되는 죄에 대한 대가라고 생각해왔으나, 단지 그 두가지 이유때문이라고 하기에는 강도면에서 엄청난 무게의 죄값을 치루게 되고, 그 대상이 원죄라는 것으로 처벌받는다고는 설명하기 어려운 아동이나 소외계층에게 집중되는 등의 현재상황이 사람들에게 과연 신이 존재한다면 이렇게 불공정하게 ‘죄’라는 것에 대한 대가를 분배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을 자연스럽게 하게 했다고 할 수 있다. 이런 물음들은 전지전능이라는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신의 특징에 대한 의문과도 연결되었다. 즉 만약 신이 전지전능하다고 가정한다면 이 세상을 뒤덮고 있는 악은 신의 뜻에 의해서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것이 아니었는가라는 의문말이다.
이 의문에 대해서 성직자와 종교 옹호론자들은 악이라는 존재로 인하여 그 악을 덮고도 남을 더 큰 의미의 선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즉 악에 대항하여 순교한 여러 성인들이 남긴 교훈에 따르는 사람들이 행하는 선이 처음 존재한 악보다 더욱 큰 혜택을 인간에게 가져다 준다는 것이다. 또 세상에 악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을 보고 스스로를 경계하면서 더욱더 선으로 나아가려는 노력을 하게 된다는 반박도 제시되었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논제: 신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종교를 왜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가?
파일이름 : 논제 신은 존재하는가 만약 존재하지 않는다면 인간은 종교를 왜 믿음의 대상으로 삼는가.hwp
키워드 : 논제:,신은,존재하는가?,만약,존재하지,않는다면,인간은,종교를,왜,믿음의
자료No(pk) : 1604742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