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개념과 조직개념 다운로드 IE
- eedyi81
- 2020년 12월 21일
- 1분 분량
기본개념과 조직개념 다운로드
기본개념과 조직개념
기본개념과 조직개념에 대한 글입니다. 지리교육의기본개념과
3. 기본개념의 쟁점
기본개념 중심의 지리 내용에 대한 접근에서도 몇가지 쟁점들은 여전히 남아있다.
첫째, 추출된 개념들의 수준을 일치시키는 문제이다. 만약 개념들의 수준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 추출된 개념들이 상호 어떤 관계에 있는지 그리고 개념 추출의 근거를 논리적으로 밝힐 필요가 있다. 그것은 어떤 경우에는 추출된 기본개념들이 너무 넓은 범위의 의미를 가지는 개념(예:문화), 지리학의 많은 하위개념들을 포함하는 개념들(예: 공간구조, 공간관계, 인간-자연관계), 그리고 지나치게 구체적인 개념들(예: 거리장애, 지리적 사실 등)들이 함께 제시됨으로써 개념들간의 수준의 일관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는 기본개념에 대한 개념적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지리학의 상이한 접근방법에 기초한 개념들을 아무런 분석 없이 혼용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와 같은 기본개념들의 수준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도 기본개념의 본질과 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그 교과의 구조를 보여주기에 핵심적이어야 한다는 점을 기본개념들간의 수준의 차이를 허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 기본개념의 추출이 논리적 근거를 갖추어야 한다는 점이다.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추출하는 것은 지리학의 구조를 밝히는 것이 최종 목적이지만, 대부분의 기본개념에 대한 연구는 개념의 추출과정에 대한 근거를 충분히 제시하지 못하고 직관 또는 개인적 경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기본개념들을 제시하는 것이 매우 단면적으로 전개되고 때로는 지리학의 연구과정과는 탈맥락적인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이처럼 단면적으로 핵심개념(기본개념)을 추출하는 것은 지리 개념들간 관계를 분명하게 보여주지 못할 뿐만 아니라 추출된 개념들도 지리학의 구조를 대표한다는 일반적인 동의를 끌어내기는 대단히 어렵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8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기본개념과 조직개념
파일이름 : 기본개념과 조직개념.hwp
키워드 : 기본개념과,조직개념
자료No(pk) : 16162590
Comment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