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 Report WQ
- eedyi81
- 2020년 12월 11일
- 3분 분량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 Report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 (O?D조사) 검토
1. 기초사항
가로상에 사람이나 자동차가 움직일 때에는 반드시 출발지(Origin)와 목적지(Destination)를 가지고 있다. 어떤 목적에서 다른 목적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그 이동을 트립(trip)이라 하며, 이 트립의 기점(O)과 종점(D)을 조사하는 것을 O?D조사라 한다.
트립의 조사에서 사람을 대상으로 할 때는 사람트립(person trip)이라 하고, 물자가 대상이 될 때는 물자트립(Cargo trip)이라 하며, 자동차를 대상으로 할 때는 자동차트립(vehecle trip) 이라 한다.
O?D조사는 사람 또는 자동차트립이 주대상이 되고 있으며, 이를 조사하여 교통수요예측을 세우는 것은 교통공학의 전문분야이기 때문에 본장에서는 개념과 윤곽을 아는 정도가 진행될 것이다.
2. 조사대상 지역설정
(1) 코돈 라인(cordon line)
대상지역은 한 가닥 긴 도로일 수도 있고 도시의 일부지역인 경우도 있으며, 도시의 전지역이거나 몇 개 도시가 포함된 광역지역일 수도 있다. 대상지역이 결정되면 그 범위를 감싸는 경계선을 긋고 코돈라인이라 한다.
(2) 스크린 라인(Screen line)
대상지역을 두 지역으로 분단시키거나 코돈 라인에 진입해 오는 외곽의 교통량이 많은 길목에 설정하는 경계선을 스크린 라인이라 한다. 이 라인은 철도, 하천 등의 지리적 경계선을 사용하기도 한고 인위적으로 설정하기 도 한다.
3. 존(zone)
사람이나 자동차를 막론하고 이옹할 때는 출발지와 도착지가 있고, 출발지는 A동이고 도착지는 B동이 되겠으나 이것은 분절상 변동이 많기 때문에 존으로 나눈다. 이 존은 작은 도시는 수십개에서 큰 도시는 수백개가 될 것이며, 존에는 숫자의 부호를 붙여 사용한다, 결국 코돈라인속에 존이 분할되는 데 라인 안의 존을 역내존이라 하고, 밖의 존을 역외존이라 한다. 모든 트립은 출발존과 도착존을 가지고 있다.
4. 트립조사
(1) 사람트립조사(person trip servey)
사람의 교통과 교통체계를 일체로 파악하여 교통을 발생시키는 속성 즉, 행동을 구체적으로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세대속성(가족수, 자동차 보유 유무), 개인속성 (성별, 연령, 직업 등), O?D관계(출발지, 도착지, 시각과 시설, 교통목적, 이용 교통수단) 등을 내용으로 춘추 1일을 택하여 1일의 외출 조사를 한다. 인구가 많기 때문에 추출조사를 한다.
(2) 자동차트립조사(vehecle trip servey)
대상지역내에 재적하는 자동차(노선트럭 및 노선버스 제외)의 1일분 트립을 조사한다. 소유자는 행정관서에 등록된 자료를 중심으로 1대에 1건씩 작성한다.
조사항목은 ①도착지, 출발지, ②출발시설, 도착시설(시설이란 공장, 상점 등), ③출발시각, 도착시각, ④적제품목, ⑤적재톤수, 혹은 승차인원 등이다.
5. 조사방법
(1) 노측(路側)면접법
차량을 일시 정차시켜 O?D조사표의 조사항목에 따라 직접 운전자에게 질문하여 조사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교통량이 많으면 도저히 전사조사를 할 수 없기 때문에 추출조사를 행한다.
(2) 방문조사법
행정관서에 등록돼 있는 자동차 등록카드에 의하여 개니소유자 또는 사업자의 가정과 업소를 직접 방문하여 자료를 수집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역내 자동차 보유대수가 많을 때는 역시 추출조사를 한다.
(3) 우편조사법
질문카드를 우편으로 보낸 다음 받아 보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역내만 다니거나 역외로 가는 것는 체크가 되지만 역외에서 들어오는 차량은 포함시키기 어려운 난점과 반송률이 극히 낮은 결점이 있다.
이상의 방법들의 보편적인 사항 즉, 계절, 요일, 시간 등은 일반교통량조사의 요령과 같다. 또한 자동차의 종류에 있어서도 오토바이, 승용차, 택시, 버스, 소형트럭, 대형트럭, 자전거 등으로 구분시키고 있다.
6. O?D표의 작성
(1) 현재 O?D표 작성
일정 대상지역을 여러 개의 존으로 분할한 후 O?D조사를 하여 집계가 끝나면 다음과 같은 존 상호간 현재교통량표를 작성할 수가 있다.
tij는 존 i에서 존 j에 간 1일분 자동차대수로 i출발존과 j도착존의 1일분 트립이다. 똑같이 tji도 풀이된다. tii, tjj......,tnn 즉 대각선상에 있는 수치는 당핵 존 내부에서 완료된, 다시 말하면 출발지도 도착지도 같이 그 존에 있는 트립(intrazonal trip)의 수이다. ti→는 i를 출존으로 하는 트립의 총수로 존 i의 발트립엔드(trip end)의 수라 한다.
ti→ = tii+tij+tik+tin이 되고 똑같이 ti←는 i존을 도착존으로 하는 트립의 총수이며, 존 I외 착트립엔드수라 한다. ∑T는 전수의 총트립수이다. 이론적으로는 ti→=ti←가 되어야 원칙이나 조사당일특수사정에 따라 오차가 있을 수 있다.
존 상호간 교통량은 통상 삼각도표가 되기 때문에 삼각표 혹은 사형표라고도 하고 이것이 바로 O?D표이다. O?D푶는 존간 화물운송톤수, 여객운송인수를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화물운송톤수를 표현할 때는 사각형으로 표시하고 있다.
교통량추정의 여러 이론과 추정작업은 O?D표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므로 O?D표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하여야 한다.
(2) 장래 O?D표 작성
현재 O?D표가 작성되었다 하더라도 10~20년 후의 도로계획을 수립하려면 장래의 통화량을 알아야 하기 때문에 현재 O?D표를 근거로 존의 장래발생교통량을 추정한 다음 그 발생교통량을 각 존페어에 분포시켜 분포교통량을 구하는 순서로 진행된다. 즉, 장래 O?D표의 작성은 발생교통량추정과 분포교통량의 추정이라는 두 단계 작업으로 완결된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3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
파일이름 : 교통계획 수립을 위한 기종점조사(O.D조사).hwp
키워드 : 교통계획,수립,위한,기종점,O,D,수립을,기종점조사,D조사
자료No(pk) : 11034647
Comments